개인안심번호 6자리 발급방법 3가지
- 일상팁
- 2021. 2. 20.
2021년 2월 19일부터 식당이나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에 방문 시
출입명부에 방문 기록을 수기로 남기지 않아도 됩니다.
개인정보유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앞으로는
휴대전화번호 대신 개인안심번호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안심번호는 휴대전화번호 등 코로나19 방역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암호화해 6개 문자열로 무작위 변환한 개인 고유번호이며
숫자 네 자리와 한글 두 자리로 구성됩니다.
ex) 12가34나
[발급 방법]
발급은 국민 1인당 1개씩 발급받을 수 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네이버와 카카오, 패스(PASS)등 기존 전자출입명부용
QR체크인 코드 발급 인증 기관을 통해 개인안심번호를 발급하도록 하였습니다.
1. 네이버
네이버 앱에서 QR체크인 → 개인정보 수집 동의 → 휴대전화 인증 → QR코드 및 안심번호 발급
2. 카카오
카카오톡 더보기 QR체크인 → 개인정보 수집 동의 → QR코드 및 안심번호 발급
3. 패스(PASS)
패스(PASS)앱 QR출입증 → QR 출입증 약관 동의 → QR출입증 확인
한 번 휴대전화 인증을 받아 발급하면 코로나19 종식 때까지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기관에서 받아도 개인안심번호는 바뀌지 않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확인 결과 안심번호 동일)
* 패스(PASS) 앱에서는 현재 QR코드만 생성됩니다.
자기 안심번호를 암기하거나 종이에 메모해 두고 다중시설 이용 시
수기 출입명부에 적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수기출입명부에는 개인안심번호 외에 방문 일시, 시·군·구까지의 거주지만 적고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체크하면 됩니다.
개인안심번호 발급이 어렵다면 기존과 같이 휴대전화 번호를 적을 수도 있지만
위 발급 방법을 참고하여 발급받아 보길 추천합니다.
QR코드 방식의 전자출입 명부를 운영하는 시설에 갈 때는 QR코드를 사용해도 됩니다!
'일상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휴가지원사업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1.04.07 |
---|---|
퀸스 갬빗과 체스 이야기 (0) | 2021.04.06 |
SKY 서포터즈 신청자격 및 지원방법 알아보기 (0) | 2021.02.19 |
토스증권 사전신청 이벤트 (0) | 2021.02.09 |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신청 기간 및 방법 알아보기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