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질크롬도금 규격

 

경질크롬도금 규격

적용 소재 철강제품 / 일반산업기계, 선박용, 금형
적용 규격 국방0115-0011(연), AMS-QQ-C-320, AMS-2438
특 성 두께 1종 0.25 ㎛ ↑, 2종 51 ㎛ ↑
밀착성 180º Bending 후 분리 흔적없을 것
경도 광택 : Hv850↑, 반광택 : Hv 600↑
수소취성제거 HRC 34-38.8 강재 191 ± 14℃ 3Hrs↑ 
HRC 39-46.1 강재 191 ± 14℃ 8Hrs↑ 
분 류 1종 : 작식용  
1형 : 광택 표면
2형 : 공단 표면
2a 계약기관과의 절차에 의거 처리
2b 경도 HRC 40미만, 정하중 또는 일정기간의 동하중
2c 경도 HRC 40미만, 동하중
2d 경도 HRC 40이상, 정하중 또는 일정기간의 동하중
2e 경도 HRC 40이상, 동하중
공정도 용제탈지 ⇒ 마스킹 / 지그 ⇒ 크롬산 탈지 ⇒ 수세 ⇒ 에칭 ⇒ 크롬도금 ⇒ 수세 ⇒ 건조 ⇒ 제품검사 ⇒ 완성

 

■ 용도 : 마모성, 윤활성, 내열성, 이형성, 내약품성 향상을 위하여 적용된다.
 장식크롬도금


① 대기 중에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큼
② 색상이 아름답고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음
③ 도금층을 필요이상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등이 많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도금두께가 0.5㎛ 이하가 되어야 함.


 공업용(경질) 크롬도금


① 황산기가 첨가된 무수크롬산(CrO₃)용액에서 6가 크롬을 전기적으로 

     환원 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② 타도금에 비해 음극 전류효율(제품상에서)이 10~20% 정도로 매우 낮아 균일전착성, 

    피복력등 도금욕의 성질이 대단히 나쁘다
③ 도금층 결정입자의 미세화와 전착 시 발생하는 내부응력으로 

    Hv700~1000의 고경도가 가능하다.
④ 뛰어난 내마모성, 저 마찰계수,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보유
⑤ 염산이외의 산에 부식이 안된다.
⑥ 다른 물질이 쉽게 떨어지는 이형성이 좋다. (→ 금형사용)
⑦ 위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항공기, 선박부품, 섬유/인쇄/화공용 산업기계부품, 공구, 금형등

    사용범위가 광범위하다.


 경질(공업용) 크롬 도금의 내식성


크롬도금의 내식성을 생각할 때는 크롬자신의 내식성과 도금에서의 내식성을 분리해서 생각해
야 한다. 크롬 금속은 화학약품에 대하여 내식성이 있어서 내마모성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다만
내식성 때문에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공업용 크롬도금은 일반적으로 도금층에 갈라짐이 발생한다. 이 갈라짐은 도금 두께가 50㎛

까지는 소재까지 관통하고 있어서 침입한 액(부식성)에 의하여 소재가 부식되거나 또는 

그 액을 전해액으로 하는 소재와 크롬의 국부전지 작용에 소재가 부식된다.


예를 들면, 철에 크롬도금 한 것을 물속에 담가 놓았을 경우, 크롬도금의 핀 홀이나 갈라짐이 

소재까지 관통되고 있지 않다면, 도금면은 부식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에 소재까지 관통된 핀홀

이나 갈라짐 같은 것이 있다면 물속의 전해질에 의해 철, 크롬 사이에서 국부전지가 형성되어
철이 급속하게 용해된다.


크롬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지만 대기 중에서 부동태화 됨으로써 철이 양극이 되어 용해
하게 된다. 크롬도금의 갈라짐 발생은 도금욕의 조성이나 전착 조건에 의하여 크게 달라지는 것
이며, 이런 점을 보완한 크랙프리(Crack Free) 크롬 도금은 내식성은 뛰어나지만 경도가 낮으며
수요 관계가 적어 널리 쓰이지 못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공업용 크롬도금의 갈라짐은 내식성에 큰 관계가 있으나 도금의 조건 이외에도 

도금 후의 그라인더 연삭 같은 것에 의해서도 그 발생 상황이 달라진다.


그라인더 연삭으로 끝맺음 질을 한 도금 면은 100㎛ 도금두께에서 갈라짐이 소재까지 관통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때로는 200㎛의 두꺼운 도금에서도 좋은 내식성이 얻어지지 못할 때가 있다.


더욱이 도금의 내식성에는 도금의 밀착성도 관계되고 있다. 물 속이나 습기가 많은 상태에서 사
용 면적이 크고 작은 데에도 관계가 되고 있다. 밀착력이 약한 도금일 때는 밀착된 부분과 

밀착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이 때문에 사용할 때의 가열 냉각의 되풀이와 외부로부터 압력의 

되풀이 등에 의하여 상당히 두꺼운 도금이라도 갈라짐이 소재에 까지 관통되어 부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금두께는 충분하더라도 두께에 관계없이 소재와 전기 화학적으로 급속하게 부식당하는

경우가 가끔씩 나타나게 된다.

 

국방규격 : 국방 0115-0011(연)

국제국방규격 : AMS-QQ-C-320, AMS 2438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