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아연도금 규격
적용 소재 | 철강제품 / 일반산업기계, 선박용, 금형 | |
적용 규격 | 국방0115-0016(연), AMS-QQ-S-325, AMS-B-633 | |
특 성 | 두께 | 1종 25 ㎛ ↑, 2종 13 ㎛ ↑, 3종 5 ㎛ ↑ |
밀착성 | 180º Bending 후 4배 확대시험 | |
내식성 | II형 : 24hrs 시효후 96hrs 염수시험 III형 : 24hrs 시효후 12hrs 염수시험 |
|
수소취성제거 | HRC 40이상 강재 191 ± 14℃ 3Hr 이상 (설계하중 115% 200Hr) |
|
분 류 |
I 형 | 아연도금후 크로메이트 혹은 임산염 처리를 하지 않은 것. |
II 형 | 아연도금후 크로메이트 처리한 것. | |
III 형 | 아연도금후 임산염 처리한 것. | |
1 종 | 도금두께 25㎛이상 (0.025mm이상) | |
2 종 | 도금두께 13㎛이상 (0.013mm이상) | |
3 종 | 도금두께 5㎛이상 (0.005mm이상) | |
공정도 | 용제탈지 ⇒ 탈지 ⇒ 수세(1,2차) ⇒ 산세 ⇒ 수세(1,2차) ⇒ 아연도금 ⇒ 수세(1,2차) ⇒ 수소취성제거 ⇒ 청백색 크로메이트 ⇒ 수세(1,2차) ⇒ 표면조정 ⇒ 인산염피막 ⇒ 수세 ⇒ 탕세 ⇒ 건조 ⇒ 제품검사 ⇒ 완성 |
■ 용도 : 부식방지용, 외관장식용, 도장하지용
■ 아연도금은 아연(Zn)과 철(Fe)이 조합되어 아연은 부식되고 철은 방식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철강의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발달하였다. 아연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자급할 수 있는 유일한
금속이며, 아연 도금의 용도가 확대된 원인 중의 하나는 아연도금 자체의 내식성을 향상할 목
적으로 도금 후에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데, 이로서 아연 자체의 내
식성은 더욱 증가되고 아울러 외관의 아름다움(광택)을 향상시켜 장식용이나 도장 하지용으로
사용한다. 아연 도금의 방법으로는 전기도금, 세라다이징(확산침투). 용융도금, 용사 등이 있으나
순수한 아연을 도금하는 점에서 전기도금이 우수하다.
아연도금은 아연의 융점(419.5℃) 이상에서 사용되는 것은 무리이며 실제로 기능상 300℃정도
까지는 견딘다. 아연도금상에 크로메이트 피막은 열에 따른 내식성이 약하기 때문에 130℃ 이상
에서의 사용은 어렵다. 크로메이트 피막은 연해서 내마모성은 대단히 약하므로 마모를 일으킬
부위에는 사용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타자 지우개 정도로도 벗겨짐) 아연도금은 강판의 도장
하지용으로는 우수하지만, 인산염으로 보조 처리를 할 경우 도장의 밀착성 및 내식성이 더욱 양
호해 진다.
국방규격 : 국방 0115-0016(연)
국제국방규격 : AMS-QQ-S-325, ASTM-B-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