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피막 (AL, Chromate) 크로메이트 규격
- 카테고리 없음
- 2023. 2. 24.
화성피막 (CROMATE)
적용소재 | AL 및 AL 합금부품 | |
적용규격 | 국방0115-0032(연) AMS-C-5541, AMS 2473, MIL-C-55421 |
|
특성 | 피막중량시험 | 1A종 : 0.43g/㎡ 이상 3종 : 규정없음 |
내식성 | 168Hrs 염수시험 0.81㎠ 분무구역내 0.794mm 이하점이 15개 이내 |
|
도장밀착성 | 피막후 도장된 표면에 칼로 격자형으로 긁은 후 테이프 시험 | |
분류 | 1A종 | 최대부식 방지용, 도장여부 무관 |
3종 | 전기저항 극소화용, 부식방지용 | |
공정도 | 용제탈지 ⇒ 알카리탈지 ⇒ 수세 ⇒ DE-SMUT ⇒ 수세(1차) ⇒ 수세(2차) ⇒ 화성피막 ⇒ 수세(1차) ⇒ 수세(2차) ⇒ 탕세 ⇒ 건조 ⇒ 제품검사 ⇒ 완성 |
● 용도 : Al 및 Al 합금소재상의 도장하지용으로 많이 적용되며 전도성과 내식성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 철, 아연, 알루미늄등의 금속 표면에 방식성이 있는 화성 피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도장 소지
성(내식성, 밀착성)을 부여한다.
1) 자동차 산업 : 승용차, 버스, 오토바이, 철도, 자전거
2) 칼라 철판 : 칼라 강판
3) 알루미늄 : Can, 알루미늄강판, 건자재, 항공기
4) 철 강 : 선재, 판재
5) 가전 : 냉장고, 세탁기, 선풍기, 전자렌지등
6) 무기, 기계류, 조선등
● 특징
크로메이트 처리는 1935년 미국에서 개발 되었고 원래는 아연도금의 내식성을 향상하기 위해
적용되어 카드뮴 도금 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이 크로메이트 처리는 아연도금 및 카드뮴 도금후의
후처리(내식성 향상)로 사용되기도 하며 알루미늄 소지상에 단독처리(내식성향상) 하기도 한다.
① 외관이 아름다움(무지개 빛)
② 지문등의 더러움이 타지않음.
③ 아연도금상의 도장시에 내식성 및 밀착성 향상을 위한 도장하지용
④ 전도성 부여 및 내식성 피막형성으로 전기부품 접촉부에 좋은효과
⑤ 염색가능
⑥ 피막층은 약 0.25㎛ 정도 두께의 얇고 불활성인 산화피막
⑦ 피막이 닳은 부분에서 자기치유성(Self-Healing)을 가진다.
형성된 크로메이트 피막을 적당한 정도로 건조후 수분을 없애면 미세한 균열이 있는 상태로서
(또는 겔라틴 상태) 경도가 있는 피막이 된다.
① 내식성은 피막강도 및 피막 중의 6가 크롬 함유량에 따라 결정된다.
② 열에 약함. 350℃이상 에서는 파괴되어 크롬 산화물이 된다.
③ 열탕에 침적 또는 장시간 물에 담그면 피막이 팽창되어 내식성이 없어진다
국방규격 : 국방0115-0032(연)
국제국방규격 : AMS-C-5541, AMS 2473, MIL-C-55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