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의 종류로는 접합부의 외관 불량, 삽입금속의 흐름 불량, 삽입금속의 과도한 흐름, 이물질 부착, 부품간의 부착, 변색, 변형, 변질, 조립불량, 크기 불량, 강도 불량 등이 있다.
이러한 불량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실제 발생 원인을 찾아내기 어려울 때가 가끔 있다. 또한 불량 원일을 발견하였다고 하더라도 설비, 경제적인 문제로 쉽게 대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브레이징 발생 원인은 설계 단계에서 대부분 해결할 수 있지만, 부품 혹은 제품의 설계자가 브레이징에 대한 기본적인 설계 지식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제품의 제조 공정 중 브레이징 공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수%이고, 브레이징에 대한 문외한이 주로 설계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브레이징 설계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1) 접합부의 강도 계산 방법
2) 회사의 가공기술 능력과 브레이징 설비의 수준
3)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4) 브레이징 작업표준(도표의 표시법, 기술표준 혹은 작업표준)
5) 삽입금속 및 플럭스, 모재 등 재료에 대한 지식
따라서 불량이 없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품(접합부) 설계 및 브레이징 공정 설계시에 현장의 생산기술자와 관리자, 제품설계자가 제휴할 필요가 있다.
* 출처 - 대한용접-접합학회지 학술논문 / 브레이징 불량 (Brazing Defect) / 저자 강정윤
[불량의 유형 - NBF 브레이징]
- 침식 (과열)
- 필렛 미흡
- 리크 불량
- 핀 드롭
- 도포 불량
- 플럭스 잔사
- 세척 오염
- 로내 오염
- 설계 부족
- 소재 변형
- 재료 불량
- 얼룩, 탄화물, 변색
- 산화
- 전위차 부식 등이 있다.
'브레이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레이징 용가재와 플럭스 (0) | 2020.06.22 |
---|---|
브레이징 방법과 종류 (0) | 2020.06.22 |
브레이징의 원리 (젖음성, 모세관 현상) (0) | 2020.06.18 |
필러 메탈(Filler metl)이란 무엇인가 (0) | 2020.06.18 |
플럭스(FLUX)의 특성과 단점 (0) | 2020.06.18 |